2차 북미 정상회담이 가시권에 들어와 있는 지금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미국의 경제적 상응 조치 못지않게 관심을 끄는 것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'평화체제 구축'에 관한 논의 여부입니다. <br /> <br />아직 휴전 상태인 한반도에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체결이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최근 남북미중 4개국 정상이 종전선언을 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종전선언이라는 상징적인 이벤트는 건너뛰고 곧바로 평화협정을 추진하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평화체제 다자협상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했고 문재인 대통령도 신년 기자회견에서 평화협상을 촉진하는 프로세스가 살아있다고 했습니다. <br /> <br />2차 북미 정상회담에서 사실상의 종전 의사가 담긴 합의가 도출된다면 평화협정을 위한 노력이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<br /> <br />하지만 평화협정을 향해 가는 평화체제 구축에 야권 일각에서는 '완전 비핵화'라는 전제조건을 요구합니다. <br /> <br />여론은 어떨까요? <br /> <br />평화협정을 완전한 비핵화 이전에라도 하는 게 좋을지 비핵화가 완전히 이뤄진 후 최종 단계에서 맺어야 할지, YTN이 리얼미터에 의뢰해 평화협정 시기에 대해 물었습니다. <br /> <br />결과는 팽팽했습니다. <br /> <br />평화협정은 비핵화 이전에라도 추진돼야한다는 응답이 42.6% 완전한 비핵화 이후에 해야한다는 응답이 44.1% 였습니다. <br /> <br />입장별 지지그룹을 나눠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완전한 비핵화 이전에라도 하자, 빠르면빠를수록 좋다는 입장에는 30~40대와 여성의 지지가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40대는 거의 두배 차이가 났습니다. <br /> <br />지역별로는 서울, 충청 지역이, 정치성향에서는 진보층이 조속한 평화협정을 원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20대와 60대, 그리고 남성의 경우 완전한 비핵화 이후에 평화협정이 체결돼야 한다는 입장이 강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역별로는 영남과 호남지역이, 정치성향별로는 보수와 중도층에서 완전한 비핵화가 이뤄진 이후에 평화협정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더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연령별 포인트입니다. <br /> <br />비교적 진보성향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20대에서 오히려 비핵화 이후에 평화협정을 맺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두 번째 주목 포인트는 지역별 결과입니다. <br /> <br />충청지역은 중도층 여론과 달리 8% 포인트 차로 평화협정은 빠를 수록 좋다는 의견이 더 많았습니다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21114292537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